실감미디어 시대의 도래, TV에서 인공지능까지
1. 들어가며 실감미디어 시대이다. 실감미디어는 사용자가 마치 직접 경험을 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해주는 미디어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실감미디어는 실제 느낌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그리고 인간의 다차원적 감각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개발된다. 다차원적인 실감미디어는 다양한 형태의 요소 정보를 통해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극복하며, 인간의 오감을 통해 보고, 듣고 느끼는 다양한 형태로 융합된 미디어 정보들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고성능 네트워크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실재감(實在感)과 몰입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양한 기술 발전으로 정보화 시대에 들어선 지금, 인간은 정보화 시대와 산업의 흐름에 따라 컴퓨터들과 다양한 종류의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해 광범위한 정보가 빠른 속도로 전달되어 인간의 감각을 자극하고 있다. 실감미디어는 다양한 감각에 전달되는 정보를 생성, 처리, 변환, 전송, 재편
영상 산업의 주류 기술로 등장할 인공지능
2017.11.29. [테크 트렌드] “영상 산업의 주류 기술로 등장할 인공지능”. 한경비즈니스 알파고 이후로 인공지능은 매우 보편적인 단어로 사용된다. 크게 유행하고 있는 ‘4차산업혁명’이라는 용어 때문인지 어느 분야건 인공지능을 얘기하지 않는 분야를 찾아보기 힘들다. 영상 분야도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을 피할 수 없다. 영상 산업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 분야는 제작 단계에서부터 시청자 분석까지 전 영역에 걸쳐 있다. 시청자 분석 데이터의 활용으로 유명한 넷플릭스의 사례로 이미 시청자 행동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다면, 인공지능 기술의 중요성은 이미 논의의 필요성이 없을 정도이다. 그러나 인공지능은 단지 사용자 분석에만 머물지 않는다. 먼저, 영상 제작 단계를 살펴보자.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획안이 있어야 한다. 영화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시나리오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배우를 섭외하고, 촬영을 하며, 후에 편집을 한다. 편집 과정
거인의 어깨
2017.11.24. <거인의 어깨>. 채널A 시청자마당. (312회) 인류 역사 상 가장 뛰어난 과학자인 아이작 뉴턴은 “내가 더 멀리 보았다면, 이는 거인들의 어깨 위에 올라서 있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가 이루었다고 생각하는 많은 것들이 실은 다른 사람의 업적이 있었기에 가능했음을 강조한 말입니다. 미학, 사회학, 심리학, 기생충학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전문가들이 자신만의 관점으로 인문학의 세계로 이끄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어렵고 딱딱한 인문학이 아닌 강연쇼의 형식을 빌린 <거인의 어깨>라는 제목의 프로그램은 세개의 주제에 대해서 지식 거인의 어깨를 빌려 세상을 더 넓고 깊이 보고자 합니다. <거인의 어깨>는 예능 프로그램이지만 그 의미는 깊고 넓습니다. 강연 형식을 띈 예능 프로그램은 이미 많이 소개되고 있어 차별화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거인의 어깨>는 새로운 지식 큐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전문성을 한층 높이는 전략을 취

초고화질에서 인공지능까지, 방송영상 산업의 발전
방송과 영상의 발달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한다. 영상이 갖는 스토리텔링은 필연적으로 기술의 영향을 받는다. 디지털 기술의 영향력은 각본에서, 제작, 유통, 그리고 시청행태까지 전 영역에 적용되고 있고,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방송영상 시장의 전체를 바꾸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디지털기술은 지난 십년 동안 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시도해왔다.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 주문형(On Demand) 서비스, 인터렉티브(interactive) 서비스, 데이터 기반 사용자 추천 서비스 등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변모시켜왔다. 그 결과 방송영상 산업은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의 전시장으로 변모했고, 이에 따라 영상이 갖는 의미는 단순히 보고 즐기는 것을 넘어서 혁신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산업으로 성장했다. 이제 방송영상 시장은 단순한 콘텐츠라는 이름을 넘어 인공지능으로 진화하는 중이다. 방송영상 산업은 시청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
재난방송 DMB에 대한 정책지원 필요하다
2017.11.08. [디지털산책] 재난방송 DMB와 `유비무환`. 디지털타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8년부터 국내에서 출시되는 삼성전자와 LG전자 스마트폰을 통해 FM 라디오 방송의 수신이 가능해진다고 지난 8월에 발표했다. 2016년 9월,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재난 방송에 대한 관심이 급증됐고, 이에 따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국민들의 재난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 스마트폰에 FM 라디오 수신 기능을 활성화 할 것을 요구해 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단말기 제조사, 이동통신사와 함께 FM 기능 활성화 방안을 논의한 결과 이와 같은 결정을 내림으로써, 긴급 재난 시 이동통신망이 마비되는 상황에서도 FM라디오 방송을 통해 송신망의 과부하 문제없이 다수의 청취자가 동시에 들을 수 있는 안정적인 체계를 마련했다. 이와 같은 결정은 자연 재해와 같은 불확실성이 급증하는 시대에 스마트폰을 통한 라디오 방송 수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Gartner 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 for 2018
https://www.gartner.com/smarterwithgartner/gartner-top-10-strategic-technology-trends-for-2018/

The best design inspiration websites
The best design inspiration websites Links for sites that showcase interesting and inspirational UI work https://www.designerlynx.co/ Dribbble https://dribbble.com/ We all know it and love to hate it. Still useful for when you just need some eye candy and want to flex the visual design muscle. PURE EYE CANDY VISUAL DESIGN Mindsparklemag https://mindsparklemag.com/category/website/ This covers print as well, but they have a decent sometimes unusual selection of websites. Portf